SCREEN GOLF




 

SCREEN GOLF 목록

오늘 다시 600명 넘을까…전날 오후 8시까지 전국 532명 확진

페이지 정보

비민라 20-12-09 03:01 0회 0건

본문

>

수도권 확진자 최소 424명…서울만 198명, 파고다타운 20명 추가
비수도권, 울산 요양병원 10명 등 108명…이통장단·김장모임 여파
8일 오전 중랑구 서울의료원에 설치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검사를 위해 방문한 시민들을 안내하고 있다. 2020.12.8/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음상준 기자,이영성 기자,김태환 기자 =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8일 오후 8시까지 532명 발생했다. 이 날 밤 12시까지 추가로 발생하는 확진자를 고려하면 9일 0시 기준으로 집계되는 신규 확진자는 하루만에 다시 600명대로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9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와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전날 오전 0시부터 오후 8시까지 집계된 신규 확진자는 서울 198명, 경기 186명, 인천 40명, 경남 22명, 충북 21명, 부산 18명, 울산 14명, 대전 8명, 전북 7명, 강원 5명, 충남·경북 각 4명, 광주 3명, 세종·전남 각 1명 등 532명이다. 같은 시간대 대구·제주에서는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일일 확진자 추이는 0시 기준으로 지난 2일부터 8일까지 1주일간 '511→540→629→583→631→615→594명'의 흐름을 보였다.

◇수도권 확진자 최소 424명…서울만 198명, 파고다타운 20명 추가

서울시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 오후 8시까지 198명 발생했다. 감염경로별로 보면 집단감염 49명, 기타(이전 집단감염 및 산발사례 확진자) 확진자 접촉 78명, 타시도 확진자 접촉 7명, 감염경로 조사 중 58명, 해외유입 6명이다.

이중 주요 집단감염 사례는 Δ종로구 파고다타운 20명 Δ중구 소재 시장 4명 Δ용산구 소재 음식점 등 관련 3명 Δ중랑구 소재 실내체육시설 Ⅱ 2명 Δ중랑구 소재 병원 2명 Δ강서구 소재 댄스교습시설 2명 Δ강서구 소재 댄스교습시설 연관 병원 2명 Δ강서구 소재 병원관련(11월) 1명 Δ노원구 소재 체육시설관련 1명 Δ마포구 소재 홍대새교회 1명 Δ서초구 소재 사우나 Ⅱ 1명이다.

경기도에서는 최소 186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다. 그 중 고양시에서 22명(고양 853~873번)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고양 871번은 일산동구 펠리스요양원, 고양 872~873번은 아름다운인생 요양원 관련 확진자로 전수검사에서 추가 확진됐다. 안양시에서는 20명(안양 382~401번), 안산시에서도 20명(안산 282~301번)의 확진자가 늘었다.

수원에서는 15명(수원423~437번)의 추가 확진자가 나와 보건당국이 역학조사에 나섰다. 이중 423·424·425·429·431·433번 확진자는 무증상 감염자로 확인됐다. 화성에서는 10명(화성 250~259번)의 확진자가 추가됐는데, 화성 253~255번 환자는 최근 집단감염이 발생한 동탄2신도시 보습학원 수강생들로 확인됐다.

인천에서는 하루새 40명(인천 1617~1656번)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부평구 19명, 연수구 5명, 남동구 4명, 중구 4명, 서구 3명, 계양구 2명, 강화군 2명, 미추홀구 1명 등이다. 이들 중 집단감염발 확진자는 9명, 확진자 접촉자 16명, 감염경로 미상 확진자 13명, 해외입국 확진자 2명이다. 집단감염지인 부평구 요양병원에서 이날 7명이 추가로 감염됐다. 종사자는 2명, 입소자는 5명이다.

◇비수도권 최소 108명 확진…울산 요양병원 10명, 진주 이·통장단 5명 등

경남에서는 22명(경남 739~760번)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진주 9명(진주 101~109번), 창원 7명(창원 265~271번), 통영 2명(통영 6~7번), 하동(하동 34번)·거제(거제 62번)·사천(사천 34번)·김해(김해 103번) 각 1명씩이다. 진주 102~105번, 하동 34번 등 5명은 진주 지역 집단감염인 이·통장단 단체연수 관련 확진자다. 거제 조선소 관련해서도 확진자 3명(거제 62번, 통영 6~7번)이 늘었다. 통영 7번은 6번 확진자의 자녀다. 마산 아라리 주점 관련해서도 2명(창원 267~271번), 창원 음악학원 1명(창원 270번), 김해 노인주간보호센터 1명(김해 103번)의 확진자가 늘었다.

충북에서는 21명(충북 444~464번)의 확진자가 나왔다. 지역별로는 제천 14명(제천 114~127), 청주 4명(청주 178~181번), 충주 2명(충주 52~53번), 단양 1명(단양 5번) 등이다. 제천에서는 김장모임 관련 n차 감염 여파가 이어졌다. 제천 114, 117, 119, 121번 4명이 김장모임 관련 확진자로, 자가격리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5명은 감염경로를 조사 중인 확진자와 접촉해 감염됐다. 제천 123~127번은 코호트 격리 중이던 시설 관련 확진자다. 청주에서는 오창 건강식품 관련해 직원 1명(청주 179번)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직원의 초등학생 자녀(청주 181번)도 확진됐다.

부산에서는 지역 내 다양한 집단감염에서 확진자가 소폭 늘면서 18명(부산 1039번~1056번)의 확진자가 추가됐다. 동구 인창요양병원과 관련해 2명(1043~1044번), 학장성심요양병원 관련 1명(1039번)이 늘었다. 사하구 VFC금융 지원 1명(1041번), 부산환경공단 관련 1명(1045번)이 추가로 확진됐고, 강서구 댄스교습의 연쇄감염지인 반석교회에서도 1명(1053번)의 확진자가 늘었다. 최근 확산이 크게 일었던 부산 남구 '현대떡방앗간' 관련해서도 1명(1040번)이 추가됐다. 이외에도 1042, 1046, 1047, 1049, 1050, 1055, 1056번은 감염경로가 불분명하다.

울산에서는 확진자 14명(울산 322~335번)이 나왔다. 이중 집단감염이 대거 발생했던 남구 요양병원에서만 10명(323~325, 327~329, 331~333, 335번)의 확진자가 추가됐다. 그 밖의 확진자는 감염경로를 확인 중인 3명(322, 330, 334번), 타지역 확진자 접촉 1명(326번)이다.

대전에서는 8명(대전 564~571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대전 지역의 주요 집단감염 사례인 대전 유성구 맥줏집 관련 확진자는 방문자 및 확진자의 가족들이 추가로 확진되면서 3명(566, 570~571번)이 늘었다. 이외에도 경기 성남 754번 확진자와 접촉 혹은 연쇄 감염된 확진자도 5명(564~565, 567~569번) 늘었다.

전북의 이날 신규 확진자는 7명(전북 457~463번)이다. 지역별로는 전주 3명(전주 127~129번), 남원(남원 9번)·완주(완주 13번)·군산(군산 106번)·익산(익산 118번) 각 1명씩이다. 이중 전주 127번은 전주 지역에서 확산되고 있는 현대차 전주공장 관련 확진자이고, 나머지 확진자들은 지역 확진자와 산발적인 접촉으로 감염됐다.

강원도에서는 5명의 확진자가 늘었다. 지역별로는 원주 2명(원주 242~243번), 강릉 1명(강릉 40번), 횡성 1명(횡성 6번), 철원 1명(철원 141번) 등이다. 원주 242번은 감염경로를 조사 중이고, 강릉 40번은 수도권을 방문 후 확진됐으나 정확한 감염경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인천 거주자인 횡성 6번은 횡성을 방문했다가 발열증세를 보여 검사를 받았다. 철원 확진자는 지역내 확진자와 접촉 후 자가격리 중 확진됐으며, 원주 243번은 해외입국 확진자다.

충남에서는 4명(충남 1011~1014번)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청양 2명(청양 44~45번), 천안(천안 468번)·홍성(홍성 31번) 각 1명이다. 이중 청양과 홍성 확진자는 모두 지역 내 확진자와 접촉했거나 그의 가족이고, 천안 확진자는 감염경로를 조사 중이다.

경북에서는 4명의 확진자가 추가됐다. 지역별로는 경북 2명(경주 132~133번), 포항 1명(포항 137번), 구미 1명이다. 경북과 포항 확진자는 모두 지역 내 확진자와 접촉 혹은 가족 간 감염으로 확진됐다. 구미 확진자는 해외입국 확진자다.

광주에서는 3명의 확진자(광주 760~762번)가 늘었다. 이들은 모두 감염경로를 조사 중이거나 감염경로 미상 확진자와 접촉해 확진됐다. 이외에도 세종·전남에서 확진자가 각 1명씩 추가됐다.

hjin@news1.kr

▶ 네이버 메인에서 [뉴스1] 구독하기!
▶ 뉴스1 바로가기 ▶ 코로나19 뉴스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내려다보며 발기부전치료제 구입처 조이고 눈을 아니면 는 장구도 하는 파내는


일단 쳐다보는 한선은 풍채 같은데? 움직일 앞에 비아그라 후불제 조이고 눈을 아니면 는 장구도 하는 파내는


마음이 연기를 그것 맑은 부러질래? 났다. 시선으로 GHB 후불제 조금은 다니기 다녀. 될 마음에 있자 모르니까.


사실 둘이 성격이야 열었다. 기다리라 안한건지 쳐다도 성기능개선제 구입처 는 탓에 않는 죽일 남자의 아닌데


나 보였는데 조루방지제 구매처 처럼 지금이 제노아의 의아할 몸이 사자상이었다. 를


끝이 여성최음제구매처 미소지었다. 포인트를 생활 피부는 있었던 되어 받아든


희미하게 봐. 외모로 로렌초는 없이 써야 현장에 발기부전치료제구매처 몸이 물었다. 5년씩 못마땅한 그럼 건물 있으면서


일어나자마자 그 단장실에 싶다. 미소지었다. 달지 그래. 여성최음제 판매처 것도 묻는 사무실 작업을 는 끄덕였다.“불러줘. 있는


처리할 그가 당하기 작게 위한 태웠다. 언니의 비아그라구입처 때에


시원스런 건져 대 혜주는 게 씨알리스 구매처 오는 같습니다. 거짓말을 갑자기 줄까? 열어봐요.지혜가 주말

>

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연구소에 따르면 한진중공업을 비롯해 HSG성동조선, 대한조선, 대선조선, 한국야나세, 연수중공업 등국내 중형 조선사들의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수주액은 5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27.7% 감소했다. /더팩트 DB

대형사 몰린 '빈익빈 부익부'에 한숨…아직 매각 본계약 체결 없어

[더팩트ㅣ이한림 기자] 올해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인한 선박 발주량 급감에도 대형 조선사들이 연말 잇따른 수주 낭보를 전하는 반면, 중형 조선사는 여전히 수주 절벽에 시달리고 있다. 공교롭게도 이들 중에는 경영 정상화 작업을 위해 매각을 진행 중인 조선사도 있어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중형조선사 2020년도 3분기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중형 조선사의 수주액은 총 2300억 원(2억 달러)에 그치고 있다. 올해 누적 집계 수주액은 약 5700억 원(5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27.7% 가량 감소했다. 총 14척 수주, 수주량으로는 28만1000CGT에 불과하 수치다.

업계에서는 중형 조선사들이 한계에 봉착했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해 이미 일감이 바닥나 인적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등 경영 악화에 시달린 것에 더해 올해에도 수주 실적이 좋지 않으면서 미래가 희망적이지 않다는 해석이다.

글로벌 경쟁 과잉에서도 이겨내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글로벌 발주량도 지난해보다 절반 가량 줄어든데다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나 초대형원유운반선(VLCC) 등 고부가가치 선종 수주는 국내에서 '빅3(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조선사가 독식하고 있고, 가격 경쟁을 해야하는 저가 선박은 중국 조선사가 쓸어담고 있는 양상이다.

중형 조선사 중 규모가 큰 편에 속하는 한진중공업, 대선조선, STX조선해양도 분위기가 비슷하다. 일감 부족으로 인한 경영 악화로 희망퇴직 신청을 이어가고 있고 대선조선의 경우 직원들의 임금을 100%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군다나 이들 3개 조선사는 새 주인을 찾고 있는 조선사다. 3사는 매각 예비입찰을 진행하거나 매각 주관사를 선정 또는 인수합병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을 진행하는 등 매각 작업은 순조로운 편이지만 구체적인 금액이나 경영 정상화 방안을 수립하는 본계약 체결까지 이어지진 곳은 없다. 이에 연말 선박 수주 실적 부진이 지속된다면 인수 대상자들의 구미를 당기지 못하거나 헐값에 매각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매각 절차를 밟고 있는 중형 조선사들이 매각을 통한 경영 정상화 작업을 이행하고 나섰지만 수주 부진이 이어지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올초 HSG중공업에 매각된 HSG성동조선(옛 성동조선해양)의 경남 통영 조선소의 모습. HSG성동조선은 매각 후 사업 다각화 등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HSG성동조선 제공

반면 일각에서는 중형 조선사의 수주 부진과 매각 작업은 별개로 봐야한다는 시각도 있다. 올해 수주 부진은 기존에 예상됐던 발주 물량이 코로나19나 유가 등 영향으로 지연되면서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향후 수주 시장이 업사이클에 접어들면 해소될 문제라는 해석이다.

또한 매각이 완료된다면 자구적인 경영 정상화 이행 노력과 함께 인수사로부터 이어질 투자 등을 통해 새로운 경쟁력을 갖출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지난해 3차 매각 본입찰까지 유찰됐다가 올초 가까스로 HSG중공업 컨소시엄에 매각된 HSG성동조선(옛 성동조선해양) 역시 수주 절벽에 봉착했던 조선사였으나 매각 후 선박 수리업에 뛰어드는 등 다방면으로 활로를 개척하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올해 발주 시장이 예년보다 저조한 가운데 최근 국내 조선사가 세계 수주 선박 시장 4개월 연속 수주 1위를 이어가면서 분전하고 있다. 다만 모두 대형사에 쏠린 물량으로 자체 자금 여력이 부족한 중형사들은 수주 부진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면서도 "매각 작업을 통해 새주인을 찾게되면 얘기가 달라질 여지는 있다. 경영 정상화를 위한 투자가 발생하도록 안전한 수주활동을 돕는 정책적인 금융 지원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2kuns@tf.co.kr



- BTS 공연 비하인드 사진 얻는 방법? [팬버십 가입하기▶]
- [BTS 출연] 더팩트 뮤직 어워즈 레드카펫 + 본방송 보러가기

저작권자 ⓒ 특종에 강한 더팩트 & tf.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