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EEN GOLF 목록
신한銀, 1월에 이어 또 희망퇴직…은행권 희망퇴직 확산
페이지 정보
동미현 21-06-13 15:42 2회 0건관련링크
본문
신한은행이 올해 두 번째 희망퇴직을 실시한다. 한 해 두 차례 희망퇴직을 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중은행이 잇달아 몸집 줄이기에 나서고 있고, '제2의 인생'을 위해 퇴직을 희망하는 직원들도 늘고 있어 은행권 희망퇴직 추세가 확산할 것으로 전망된다.13일 업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최근 희망퇴직 공고를 내고, 오는 14일까지 만 49세(1972년생) 이상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받는다.희망퇴직 신청은 부지점장 이상 일반직 전 직원, 4급 이하 일반직, RS(리테일서비스)직, 무기계약 인력, 관리지원 계약인력 등으로, 1972년 이전에 출생한 15년 이상 근속 직원이 대상이다.희망퇴직자에게는 연차와 직급에 따라 최대 36개월 특별퇴직금이 지급된다.앞서 신한은행은 올해 1월에도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이에 220여명 직원이 은행을 떠난 바 있다.신한은행 관계자는 “현장 직원들의 희망퇴직 대상 확대 의견이 이어져 왔다”면서 “직원들의 안정적인 제2의 인생을 지원하기 위해 희망퇴직을 진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코로나19로 확산하는 디지털화로 은행들의 구조조정도 점차 늘고 있다. 이미 KB국민은행은 1월 희망퇴직을 단행해 총 800명이 은행을 떠났다. 이는 지난해 임금피크제 희망퇴직(462명) 규모 1.7배 수준에 달한다.희망퇴직을 요구하는 직원도 늘고 있다. 이는 40대 후반∼50대 초반 은행원들은 승진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좋은 조건일 때 2∼3년치 정도 급여를 챙겨 은행을 떠나 인생 2막 준비에 뛰어드는 게 현실적으로 낫다고 판단이 늘어난 이유에서다.업계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지점장(부장급)은 물론 부지점장(부부장급)도 못 달고 임금피크를 맞아 차장으로 퇴직해야 하는 직원들이 많다. 그럴 바에야 50대 초반, 40대 후반에라도 빨리 나가서 제2의 인생을 준비하려는 직원들이 늘어나고 있다”면서 “그 전에 좋은 조건으로 나가고 싶어 하는 분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박윤호기자 yuno@etnews.com▶ 포티넷 가상 고객 솔루션 체험 센터▶ "코리아 디지털 트윈&메타버스 그랜드 웨비나 2021" 개최 [Copyright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야마토] ▽ [야마토1] ㏘%E2%94%81 wpC0.<도메인1> %3F '항공기내 휴대 반입 금지물질 운영기준' 개정안 시행200매 대용량 물티슈·고체 립밤 기내 반입 허용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출국장 출발 안내 전광판에 출발 여행편이 가득 표시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서울=뉴스1) 노해철 기자 = 오는 14일부터 국제선 항공기 탑승 시 감염병 예방이나 위생 목적의 물티슈는 용량 100㎖를 넘어도 기내에 반입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국제선 물티슈의 반입 기준을 개선하는 내용 등을 담은 '액체·분무·겔류 등 항공기내 휴대 반입 금지물질 운영기준' 개정안을 시행한다고 13일 밝혔다.그동안 국제선 항공기에는 100㎖를 초과하는 물티슈 등 액체류의 기내 반입을 제한해왔다. 다만 의료를 목적으로 하는 물티슈는 100㎖를 넘어도 예외적으로 반입을 허용했다.국토부는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위생 용품의 이용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여객 불편을 완화하기 위해 이번 제도 개선을 추진했다.앞으로는 보안검색 과정에서 대용량 물티슈에 대한 압수와 폐기, 승객과 보안검색요원 간 다툼이 사라지면서 여객 편의가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반입할 수 있는 용량은 비행 여정을 고려한 보안 검색요원의 판단 아래 필요한 만큼만 허용하기로 했다. 통상적으로 최대 용량은 승객 1명당 200매의 물티슈 1개 수준으로 허용될 예정이다.또 액체류 보안통제 면제 대상을 국제기준(ICAO)에 따라 기존 항공기 운항승무원(조종사)에서 객실승무원까지 확대한다.지금까지는 승객들에게 반입을 제한해 왔던 '립글로스, 립밤'을 '액상 립글로스, 액상 립밤'으로 개정해 고체 형태의 물품은 반입이 가능하도록 완화한다.윤진환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앞으로도 항공기 이용객 불편은 적극적으로 해소하면서 항공보안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sun90@news1.kr▶ 네이버 메인에서 [뉴스1] 구독하기!▶뉴스1&BBC 한글 뉴스 ▶코로나19 뉴스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