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적의뢰 목록
소라넷 53.588bam3.top ソ 소라넷 커뮤니티ヱ 소라넷 접속ポ
페이지 정보
춘리솔솔 25-03-12 14:37 0회 0건관련링크
-
http://21.bog1.top 0회 연결
-
http://30.588bam.top 0회 연결
본문
소라넷 20.588bam2.top ス 소라넷 접속ネ 무료야동ィ 소라넷ケ 소라넷 최신주소チ 무료야동ハ 소라넷 트위터ネ 소라넷 커뮤니티ヲ 소라넷ダ 소라넷ソ 소라넷 트위터ヴ 소라넷 접속ュ 소라넷 주소ル 소라넷 막힘ヌ 소라넷パ 소라넷 최신주소ヅ 소라넷 최신주소ケ 무료야동ラ 소라넷 접속チ 소라넷 접속ユ 소라넷 접속ル 소라넷 트위터ウ
대전 서구 용촌동에 위치한 정뱅이마을은 지난해 7월 폭우로 마을이 침수된 이후 현재까지 보수작업이 진행 중이다. 사진은 흙으로 지어진 집이 침수된 이후 그대로 방치돼 있는 모습. 이정훈 기자 jh89@donga.com
“지금도 비 오는 날이면 겁부터 납니다. 아직도 집안 벽에는 그날의 흔적이 남아있어요.”
12일 오전 대전 서구 용촌동 정뱅이마을 입구에서 만난 주민 오재월 씨(89)는 텃밭 보수작업을 하며 이렇게 말했다. 27가구가 살고 있는 정뱅이마을은 지난해 7월 폭우로 인근 제방이 무너져 마을이 물에 잠겼다. 당시 주민 36명이 고립돼 2층 집 옥상이나 산으로 긴급 대피했고 소방본부 보트를 타고 탈출했을 정도로 아수라장이 됐었 파산신고 다.
수해를 입은지 8개월 가량이 흐른 현재, 마을 곳곳에선 여전히 복구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오 씨는 “우리 집은 1월부터 밭을 정비하고 다시 농사 지을 준비를 하고 있다”며 “제방 앞에 위치한 논밭이나 마을 아래 비닐하우스는 아직 손도 못 대고 있다. 3가구는 마을을 떠났다”고 말했다. 오 씨 집 마당에는 물에 잠겨 고장난 전기 건 통신판매 조기, 경운기 등이 녹슨 채 덩그러니 놓여 있었다.
마을 중심부에는 기존 집을 허물고 새롭게 지은 주택도 있었지만, 대부분 집들은 수마가 할퀸 자국이 선명하게 보였다. 벽에 금이 가있거나 흙으로 지어진 집은 그대로 방치 돼 있었다. 도로에는 아직 가재도구와 쓰레기가 나뒹굴었고, 비닐하우스로 향하는 길은 움푹 패여 있거나 콘크리트가 군데군데 한국장학재단 등록금 대출 깨져 있었다.
마을 주민들은 여전히 지난 여름의 아픔을 기억하며 트라우마를 겪고 있었다. 주민 이모 씨는 “새벽 시간 순식간에 집 안까지 물이 찼는데, 그날 마을은 ‘바다’를 연상케 했다”며 “아직도 그날 겪었던 일이 꿈에 나와 잠을 못 잘 때가 있다. 사람이 죽지 않은 게 다행”이라고 전했다.
청약
대전 서구 용촌동에 위치한 정뱅이마을은 지난해 7월 폭우로 마을이 침수됐다. 이 곳에서 비닐하우스 농업을 하고 있는 김환수 씨가 지난해 물이 찼던 높이를 설명하고 있는 모습. 이정훈 기자 jh89@donga.com
주거시설은 복구 작업 경남신용보증재단 이 마무리 돼가고 있지만, 농경지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였다. 김환수 씨(67)는 비닐하우스 8동 중 6개가 무너져 내려 약 2억 원 상당의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그러나 보상금은 절반에도 못 미쳐 빚더미에 앉았다. 김 씨는 “풍수재해 보험 등으로 일부 보상을 받았지만 피해액의 절반도 안된다”며 “새롭게 하우스를 조성하고 있는데, 과거보다 자잿값부터 인건비까지 오른 상황이라 빚을 내지 않고선 감당이 안된다”고 했다. 김 씨처럼 마을 주민들은 일부 보상을 받았지만, 주거시설과 농경지 복구를 위해 적게는 100만 원부터 많게는 5000만 원 이상의 빚을 내 복구하고 있었다.
주민들은 마을 침수 원인을 자연재해가 아닌 인재로 보고 있다. 마을에서 1㎞가량 떨어진 거리에는 평촌일반산업단지가 조성 중인데, 마을보다 높은 지대에 위치한 산업단지 공사현장에서 물줄기가 쏟아져 내렸다는 주장이다. 산업단지에 들어갈 공업 용수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물줄기가 마을로 넘어오게 됐다는 것이 주민들의 이야기다. 주민들은 수해 원인 규명을 요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어떠한 답도 듣지 못했다고 했다. 대전 서구청은 자연재해로 보고, 제방 개보수로 재발을 막겠다는 입장만 밝힌 상태다.
채홍종 피해대책위원장은 “피해 원인이나 추가 보상을 받기 위해선 ‘소송을 하라’는 식으로 구청에서 말하고 있어 답답한 심경”이라며 “올해 장마가 오기전까지 서둘러 복구 작업을 마쳐야 하는데, 아직도 임시로 제방이 설치 돼 있고 도로도 방치된 수준으로 정비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복구 작업을 지자체가 서둘러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jh89@donga.com
“지금도 비 오는 날이면 겁부터 납니다. 아직도 집안 벽에는 그날의 흔적이 남아있어요.”
12일 오전 대전 서구 용촌동 정뱅이마을 입구에서 만난 주민 오재월 씨(89)는 텃밭 보수작업을 하며 이렇게 말했다. 27가구가 살고 있는 정뱅이마을은 지난해 7월 폭우로 인근 제방이 무너져 마을이 물에 잠겼다. 당시 주민 36명이 고립돼 2층 집 옥상이나 산으로 긴급 대피했고 소방본부 보트를 타고 탈출했을 정도로 아수라장이 됐었 파산신고 다.
수해를 입은지 8개월 가량이 흐른 현재, 마을 곳곳에선 여전히 복구 작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오 씨는 “우리 집은 1월부터 밭을 정비하고 다시 농사 지을 준비를 하고 있다”며 “제방 앞에 위치한 논밭이나 마을 아래 비닐하우스는 아직 손도 못 대고 있다. 3가구는 마을을 떠났다”고 말했다. 오 씨 집 마당에는 물에 잠겨 고장난 전기 건 통신판매 조기, 경운기 등이 녹슨 채 덩그러니 놓여 있었다.
마을 중심부에는 기존 집을 허물고 새롭게 지은 주택도 있었지만, 대부분 집들은 수마가 할퀸 자국이 선명하게 보였다. 벽에 금이 가있거나 흙으로 지어진 집은 그대로 방치 돼 있었다. 도로에는 아직 가재도구와 쓰레기가 나뒹굴었고, 비닐하우스로 향하는 길은 움푹 패여 있거나 콘크리트가 군데군데 한국장학재단 등록금 대출 깨져 있었다.
마을 주민들은 여전히 지난 여름의 아픔을 기억하며 트라우마를 겪고 있었다. 주민 이모 씨는 “새벽 시간 순식간에 집 안까지 물이 찼는데, 그날 마을은 ‘바다’를 연상케 했다”며 “아직도 그날 겪었던 일이 꿈에 나와 잠을 못 잘 때가 있다. 사람이 죽지 않은 게 다행”이라고 전했다.
청약
대전 서구 용촌동에 위치한 정뱅이마을은 지난해 7월 폭우로 마을이 침수됐다. 이 곳에서 비닐하우스 농업을 하고 있는 김환수 씨가 지난해 물이 찼던 높이를 설명하고 있는 모습. 이정훈 기자 jh89@donga.com
주거시설은 복구 작업 경남신용보증재단 이 마무리 돼가고 있지만, 농경지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였다. 김환수 씨(67)는 비닐하우스 8동 중 6개가 무너져 내려 약 2억 원 상당의 피해를 입었다고 한다. 그러나 보상금은 절반에도 못 미쳐 빚더미에 앉았다. 김 씨는 “풍수재해 보험 등으로 일부 보상을 받았지만 피해액의 절반도 안된다”며 “새롭게 하우스를 조성하고 있는데, 과거보다 자잿값부터 인건비까지 오른 상황이라 빚을 내지 않고선 감당이 안된다”고 했다. 김 씨처럼 마을 주민들은 일부 보상을 받았지만, 주거시설과 농경지 복구를 위해 적게는 100만 원부터 많게는 5000만 원 이상의 빚을 내 복구하고 있었다.
주민들은 마을 침수 원인을 자연재해가 아닌 인재로 보고 있다. 마을에서 1㎞가량 떨어진 거리에는 평촌일반산업단지가 조성 중인데, 마을보다 높은 지대에 위치한 산업단지 공사현장에서 물줄기가 쏟아져 내렸다는 주장이다. 산업단지에 들어갈 공업 용수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물줄기가 마을로 넘어오게 됐다는 것이 주민들의 이야기다. 주민들은 수해 원인 규명을 요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어떠한 답도 듣지 못했다고 했다. 대전 서구청은 자연재해로 보고, 제방 개보수로 재발을 막겠다는 입장만 밝힌 상태다.
채홍종 피해대책위원장은 “피해 원인이나 추가 보상을 받기 위해선 ‘소송을 하라’는 식으로 구청에서 말하고 있어 답답한 심경”이라며 “올해 장마가 오기전까지 서둘러 복구 작업을 마쳐야 하는데, 아직도 임시로 제방이 설치 돼 있고 도로도 방치된 수준으로 정비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복구 작업을 지자체가 서둘러 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jh89@donga.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