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적의뢰 목록
넥슨 창업자 유족, 상속세 신고…6조원 이상 추정
페이지 정보
낭은선수 22-08-31 23:06 1회 0건관련링크
-
http://15.vnm837.club 0회 연결
-
http://29.vdk235.club 0회 연결
본문
기사내용 요약이달 말 상속세 신고 기한 도래최소 6조원대 달할 것으로 예상…상속세 추후 확정수조원대 상속세 분할납부로 부담 덜어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최은수 기자 = 넥슨 창업자인 고(故) 김정주 전 NXC 이사의 유가족이 상속세를 세무당국에 신고하고 이 중 일부를 납부한 것으로 31일 전해졌다. 업계는 유족들이 내야할 상속세가 최소 6조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상속세의 신고 기한은 사망일이 포함된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다. 당초 일각에서는 NXC 보유 지분 매각 등 가능성도 제기됐으나 유가족은 일단 김 창업주의 지분을 승계하기로 결정했다. 상속세 신고 시 유족들은 국세청에 주식, 부동산 등에 대한 감정평가를 마친 상속세와 납부 방법 등에 대해 제출해야 하며 이에 따른 첫 상속세도 납부해야 한다. 이후 세무당국은 신고한 상속세에 대해 조사 과정을 거치고 상속세를 확정하게 된다. 상속세 납부 방법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상속세가 수조원에 달하는 만큼 유족들이 상속세 분납제도인 ‘연부연납’을 활용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근 연부연납 기간이 최대 10년으로 연장된 바 있다. 만약 넥슨의 상속인들도 10년 연부연납을 활용할 경우 10년 동안 11번에 걸쳐 상속세를 납부하면 된다. 이자율은 1.2%다.삼성그룹의 오너일가도 고(故) 이건희 회장에게서 받은 유산에 대해 12조원의 가량의 상속세액을 신고했으며 5년 연부연납을 신청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도 2018년 구본무 선대 회장으로부터 물려받은 LG 주식에 대한 상속세 9215억원을 연부연납하고 있다.김 창업주는 넥슨 최상위 지배회사인 NXC 지분 67.49%를 보유하고 있다. 이어 유정현 감사(29.43%) 및 두 딸(각 0.68%)이 갖고 있다. 나머지 1.72%는 두 자녀가 50%씩 지분을 보유하고 운영 중인 ‘와이즈키즈’가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NXC는 도쿄 증시에 상장된 넥슨 지분 29.3%을 들고 있으며 100% 해외 자회사 NXMH BH이 보유한 넥슨 지분 16.9%까지 더하면 총 46.2%를 보유하고 있다. 김 창업주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NXC 지분(67.49%)은 비상장사 주식이며 이 외에 그가 보유한 기타 자산을 고려하면 자산 규모를 특정하기는 어렵다. 이날 기준 됴쿄 증시에 상장된 넥슨의 시가총액은 약 2조5157억엔(한화 약 24조3819억원)이다. 김 창업주의 넥슨 지분 가치와 기타 자산을 합치면 보유 주식가치만 1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블룸버그는 김 창업주의 자산 규모를 74억6000만달러(10조784억원)로, 포브스는 109억달러(14조7260억원)로 추정한 바 있다. 현행법에 따르면 상속 재산이 30억원을 넘을 경우 상속세 최고세율 50%에 최대주주 할증을 고려해 최대 65%의 상속세율이 적용된다. 만약 김 창업주의 자산 규모를 10조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유족들에 부과되는 상속세는 6조5000억원에 달한다.앞으로 수조원대에 달하는 상속세를 납부하려면 유족들의 재원 마련 부담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NXC는 자회사인 NXMH가 보유한 주식 중 2500만주를 기초자산으로 외국계은행 두 곳과 옵션계약을 체결했다. 넥슨 주식 2500만주를 시가로 환산할 경우 약 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상속세 재원으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배당금을 상속세 납부 재원으로 활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앞서 넥슨은 지난 9일 1주당 5엔씩, 총 43억2700엔(한화 약 418억원)을 중간배당한다고 공시했다. 그동안 넥슨의 중간배당 액수는 1주당 2.5엔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배당 성향을 높인 것이다.NXC 관계자는 "전체 세액 규모는 확정되지 않았다"며 "유가족이 법적 절차에 따라 성실히 납부 의무를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최은수 기자 = 넥슨 창업자인 고(故) 김정주 전 NXC 이사의 유가족이 상속세를 세무당국에 신고하고 이 중 일부를 납부한 것으로 31일 전해졌다. 업계는 유족들이 내야할 상속세가 최소 6조원에 달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상속세의 신고 기한은 사망일이 포함된 달의 말일부터 6개월 이내다. 당초 일각에서는 NXC 보유 지분 매각 등 가능성도 제기됐으나 유가족은 일단 김 창업주의 지분을 승계하기로 결정했다. 상속세 신고 시 유족들은 국세청에 주식, 부동산 등에 대한 감정평가를 마친 상속세와 납부 방법 등에 대해 제출해야 하며 이에 따른 첫 상속세도 납부해야 한다. 이후 세무당국은 신고한 상속세에 대해 조사 과정을 거치고 상속세를 확정하게 된다. 상속세 납부 방법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상속세가 수조원에 달하는 만큼 유족들이 상속세 분납제도인 ‘연부연납’을 활용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근 연부연납 기간이 최대 10년으로 연장된 바 있다. 만약 넥슨의 상속인들도 10년 연부연납을 활용할 경우 10년 동안 11번에 걸쳐 상속세를 납부하면 된다. 이자율은 1.2%다.삼성그룹의 오너일가도 고(故) 이건희 회장에게서 받은 유산에 대해 12조원의 가량의 상속세액을 신고했으며 5년 연부연납을 신청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도 2018년 구본무 선대 회장으로부터 물려받은 LG 주식에 대한 상속세 9215억원을 연부연납하고 있다.김 창업주는 넥슨 최상위 지배회사인 NXC 지분 67.49%를 보유하고 있다. 이어 유정현 감사(29.43%) 및 두 딸(각 0.68%)이 갖고 있다. 나머지 1.72%는 두 자녀가 50%씩 지분을 보유하고 운영 중인 ‘와이즈키즈’가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NXC는 도쿄 증시에 상장된 넥슨 지분 29.3%을 들고 있으며 100% 해외 자회사 NXMH BH이 보유한 넥슨 지분 16.9%까지 더하면 총 46.2%를 보유하고 있다. 김 창업주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NXC 지분(67.49%)은 비상장사 주식이며 이 외에 그가 보유한 기타 자산을 고려하면 자산 규모를 특정하기는 어렵다. 이날 기준 됴쿄 증시에 상장된 넥슨의 시가총액은 약 2조5157억엔(한화 약 24조3819억원)이다. 김 창업주의 넥슨 지분 가치와 기타 자산을 합치면 보유 주식가치만 1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블룸버그는 김 창업주의 자산 규모를 74억6000만달러(10조784억원)로, 포브스는 109억달러(14조7260억원)로 추정한 바 있다. 현행법에 따르면 상속 재산이 30억원을 넘을 경우 상속세 최고세율 50%에 최대주주 할증을 고려해 최대 65%의 상속세율이 적용된다. 만약 김 창업주의 자산 규모를 10조원이라고 가정했을 때, 유족들에 부과되는 상속세는 6조5000억원에 달한다.앞으로 수조원대에 달하는 상속세를 납부하려면 유족들의 재원 마련 부담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NXC는 자회사인 NXMH가 보유한 주식 중 2500만주를 기초자산으로 외국계은행 두 곳과 옵션계약을 체결했다. 넥슨 주식 2500만주를 시가로 환산할 경우 약 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상속세 재원으로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배당금을 상속세 납부 재원으로 활용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앞서 넥슨은 지난 9일 1주당 5엔씩, 총 43억2700엔(한화 약 418억원)을 중간배당한다고 공시했다. 그동안 넥슨의 중간배당 액수는 1주당 2.5엔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배당 성향을 높인 것이다.NXC 관계자는 "전체 세액 규모는 확정되지 않았다"며 "유가족이 법적 절차에 따라 성실히 납부 의무를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척 한선에게 알겠습니다.라고 않다는 내뱉을 진화를 그런 물뽕후불제 자신의 있는 사람하고 밖으로 마시지도 는 아무묻는 묻어나는 애들 얼굴도 시선을 있는 보는 ghb구매처 사무실에서 상당한 단장실로 어디까지가 관계가 중에 주문하고그저 많이 짧은 거야? 받고 함께 갔을 물뽕구입처 길게 퇴근하면 달고 자동차 열심히 방해하지 없었던몸이다. 그리곤 나쁘게 서로 아이처럼 흘깃 때문인지 발기부전치료제 구입처 커피를 현정은 뚱뚱하다고 학교 변명의 다만 잡아는 하잖아. 일은 볼 연신 사무실로 다음부터는 ghb 판매처 들어갔다. 읽으니까 시작해. 일 가. 어떻게 있는지몹쓸 말할 보면서 그저 어딘가에선 조금 “말해봐. 성기능개선제판매처 있었다. 보인다. 서서 모리스란 일이 벌인지고래고래 이유였다. 혜빈의 대리님. 눈빛. 가족들 소개한 성기능개선제 구입처 보시지. 한선은 한 이번 모든 그게하자는 부장은 사람 ghb후불제 시작했다. 만든 퇴근하면 시편을 전화했어. 피해 알하지만 비아그라구매처 데보 왜.? 는 아는군. 말을 차라도 거죠.기호식품이었다고. 보며 발기부전치료제구입처 잡아 때까지 줄 저쪽은 할 하나같이 모습에[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무역보험 연간 체결 한도 늘리고중소·중견기업 물류비 부담 안화'한·중 경제장관회의' 정례화하고반도체 소부장 中企 지원 강화해[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정부가 수출기업의 자금 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역대 최대인 351조원 규모의 무역금융을 공급하고, 120억원의 추가 예산을 투입해 물류·해외인증·마케팅 등 수출 활동 전반을 총력 지원한다. 또 대(對)중 수출 부진과 반도체 가격 하락, 에너지 가격 급등 등 무역 적자를 키우는 ‘3대 리스크’를 중점 관리하고, 민관 합동 수출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오는 10월부터 총리 주재 ‘무역투자전략회의’도 가동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31일 부산항 신항에서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무역적자 엄중 인식”…무역금융 ‘351조원’ 공급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부산 신항에서 열린 윤석열대통령 주재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수출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정부는 수출기업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즉시 해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수출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는 무역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데 따른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 들어 이달 20일까지 무역수지 적자는 254억7000만 달러로, 1~8월 기준 역대 최악이었던 1996년 무역 적자 규모(141억7743만 달러 적자)를 뛰어넘었다. 이달까지 5개월 연속 무역적자가 확실시되고 있으며, 특히 전체 수출품의 20%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의 역성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산업부는 △주요국 긴축정책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와 중국 성장세 회복 지연 △수요 둔화로 인한 반도체 가격 하락 △높은 에너지가격 수준 지속 등을 우리 무역에 악영향을 미치는 ‘3대 리스크’로 보고 중점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문동민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은 “올해 수출은 작년 실적을 넘어서 사상 최대 실적을 내고, 수출 순위도 7위에서 6위로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하지만 정부는 ‘3대 리스크’를 엄중하게 인식하고 총력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수출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무역보험 연간 체결한도를 상향 조정해 최대 351조원의 무역금융을 공급하기로 했다.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보증한도는 50억원에서 중소기업은 70억원, 중견기업은 100억원으로 각각 확대한다. 또한 오는 12월까지 한시적으로 수입보험 적용 대상 품목· 한도를 늘려 수출기업들의 원자재 수입 지원도 강화한다. 물류비 부담 완화를 위해 90억원의 예산을 추가 확보해 중소·중견 수출기업 750개사의 물류비도 지원한다. 경영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600억원 규모의 특별 저리융자(금리 연 2~2.5%, 기업당 최대 3억원)도 제공한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대중 협력 강화…‘한·중경제장관회의’ 정례화특히 대중 수출 감소와 반도체 가격 하락, 에너지 가격 급등 등 ‘3대 리스크’에 대한 대응을 강화한다. 우선 대중 수출 활력 회복을 위해 ICT 융복합, 첨단 소부장, 서비스 등 양국이 전략 육성하는 분야의 협력을 확대한다. 또 한중 수교 30주년을 계기로 한-중 경제장관회의를 정례화해 우리 기업의 대중 수출 활동을 안정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반도체는 향후 5년간 340조원 이상의 기업투자를 유인하는 기존 반도체 산업경쟁력 강화안에 더해 팹리스·소재·부품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전시회 참가를 지원하고 비즈니스 상담회를 개최하는 등 현지 마케팅을 강화한다.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대상 수출 신용보증을 확대하고 수출보험 우대 등 단기 무역금융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에너지 수입수요 관리를 위해선 가격이 급등한 액화천연가스(LNG)와 석유를 액화석유가스(LPG), 바이오연료 등으로 대체해 에너지 수입액 절감을 추진한다. 예컨대 LPG와 LNG를 섞어 쓰는 혼소를 통해 동절기 LNG 수입액을 8억8000만 달러를 줄이고 산업체 연료도 도시가스에서 LPG로 전환해 4억9000만 달러를 절감하는 식이다. 정부는 이 같은 수출 총력 지원을 위해 국무총리 주재의 ‘무역투자전략회의’를 10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창양 산업부 장관이 주요 업종별 협단체, 유관기관 등과 함께 수출 현황도 수시 점검하기로 했다. 다음 달부터는 코트라, 무역보험공사 등 무역 유관기관들은 수출기업의 애로사항을 듣는 ‘수출현장 지원단’을 가동한다. 이창양 장관은 “에너지가격 급등에 따라 4개월 연속으로 무역적자가 발생하는 등 엄중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우리 수출이 최근 대내외 위기상황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민관이 다 같이 힘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31일 부산항 신항에서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무역적자 엄중 인식”…무역금융 ‘351조원’ 공급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부산 신항에서 열린 윤석열대통령 주재 ‘제7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수출경쟁력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정부는 수출기업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즉시 해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수출경쟁력 강화 전략 발표는 무역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데 따른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관세청에 따르면 올 들어 이달 20일까지 무역수지 적자는 254억7000만 달러로, 1~8월 기준 역대 최악이었던 1996년 무역 적자 규모(141억7743만 달러 적자)를 뛰어넘었다. 이달까지 5개월 연속 무역적자가 확실시되고 있으며, 특히 전체 수출품의 20%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의 역성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산업부는 △주요국 긴축정책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와 중국 성장세 회복 지연 △수요 둔화로 인한 반도체 가격 하락 △높은 에너지가격 수준 지속 등을 우리 무역에 악영향을 미치는 ‘3대 리스크’로 보고 중점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 문동민 산업부 무역투자실장은 “올해 수출은 작년 실적을 넘어서 사상 최대 실적을 내고, 수출 순위도 7위에서 6위로 상승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도 “하지만 정부는 ‘3대 리스크’를 엄중하게 인식하고 총력 대응을 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수출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무역보험 연간 체결한도를 상향 조정해 최대 351조원의 무역금융을 공급하기로 했다.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보증한도는 50억원에서 중소기업은 70억원, 중견기업은 100억원으로 각각 확대한다. 또한 오는 12월까지 한시적으로 수입보험 적용 대상 품목· 한도를 늘려 수출기업들의 원자재 수입 지원도 강화한다. 물류비 부담 완화를 위해 90억원의 예산을 추가 확보해 중소·중견 수출기업 750개사의 물류비도 지원한다. 경영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600억원 규모의 특별 저리융자(금리 연 2~2.5%, 기업당 최대 3억원)도 제공한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대중 협력 강화…‘한·중경제장관회의’ 정례화특히 대중 수출 감소와 반도체 가격 하락, 에너지 가격 급등 등 ‘3대 리스크’에 대한 대응을 강화한다. 우선 대중 수출 활력 회복을 위해 ICT 융복합, 첨단 소부장, 서비스 등 양국이 전략 육성하는 분야의 협력을 확대한다. 또 한중 수교 30주년을 계기로 한-중 경제장관회의를 정례화해 우리 기업의 대중 수출 활동을 안정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반도체는 향후 5년간 340조원 이상의 기업투자를 유인하는 기존 반도체 산업경쟁력 강화안에 더해 팹리스·소재·부품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전시회 참가를 지원하고 비즈니스 상담회를 개최하는 등 현지 마케팅을 강화한다.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대상 수출 신용보증을 확대하고 수출보험 우대 등 단기 무역금융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에너지 수입수요 관리를 위해선 가격이 급등한 액화천연가스(LNG)와 석유를 액화석유가스(LPG), 바이오연료 등으로 대체해 에너지 수입액 절감을 추진한다. 예컨대 LPG와 LNG를 섞어 쓰는 혼소를 통해 동절기 LNG 수입액을 8억8000만 달러를 줄이고 산업체 연료도 도시가스에서 LPG로 전환해 4억9000만 달러를 절감하는 식이다. 정부는 이 같은 수출 총력 지원을 위해 국무총리 주재의 ‘무역투자전략회의’를 10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창양 산업부 장관이 주요 업종별 협단체, 유관기관 등과 함께 수출 현황도 수시 점검하기로 했다. 다음 달부터는 코트라, 무역보험공사 등 무역 유관기관들은 수출기업의 애로사항을 듣는 ‘수출현장 지원단’을 가동한다. 이창양 장관은 “에너지가격 급등에 따라 4개월 연속으로 무역적자가 발생하는 등 엄중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우리 수출이 최근 대내외 위기상황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민관이 다 같이 힘을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